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인터넷진흥원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 내 주민번호사용내역조회 방법
    정보 2014. 10. 26. 04:43
    반응형

    작년이나 올초만해도 금융권의 개인정보유출사건등으로 온 나라가 시끄러웠었죠.

     

    사실 신용카드사나 일반 은행회사 그리고 일반 홈쇼핑등의 기업홈페이지에서도 얼마전까지만해도 개인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식별번호를 자체 보관하고 있어 해킹이나 내부자의 개인정보유출등의 사건이 발생되면 그야말로 통째로 정보가 빠져나가는 취약점이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법이 바뀌어서 병원등 일부 기관등을 제외하고는 고객들의 주민번호를 수집뿐만 아니라 기존에 갖고 있는 정보도 보관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개인식별이 필요한 곳에서는 그 대안으로 아이핀이나 마이핀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데 이 또한 가입할 때 해당 인증기관에 개인정보를 제공해서 가입을 해야만 합니다.

     

    어쨌거나 이러한 계기가 올해초에 발생된 농협카드나 국민카드, 롯데카드의 대규모개인정보유출사고가 터진 이후에 나온 대안들인데, 앞으로 내부유출과 같은 사고가 더이상 나오지 않기를 기대합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이곳 저곳의 홈페이지에 가입을 많이 하신분들은 언제 어느사이트에 가입을 했는지 헷갈리고 기억도 안날때가 많이 있습니다.

     

    또 나도 모르는곳에서 실명확인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해볼 필요도 있죠.

     

     

     

     

     

    그렇다고, 생각나는 모든 웹사이트를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확인하기도 어렵습니다.

     

    이때는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를 이용하시면 가입된 사이트의 정보와 확인일시, 그리고 실명확인건수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나 아이핀, 휴대폰인증등을 이용해 실명확인을 거치면 간단하게 이용하실수 있고 일괄 탈퇴기능을 통해 10개씩 한꺼번에 탈퇴신청도 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저도 직접 조회를 해봤는데, 신용평가회사 4군데에서 약 247건정도가 조회되었습니다.

     

     

     

     

     

    이 개인정보 사용내역은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누구라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KISA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로 이동합니다 http://clean.kisa.or.kr

     

    접속하시면 위 화면처럼 CLEAN CENTER 페이지가 열리고 중앙하단에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확인" 바로가기가 있습니다.

     

    클릭하고 이동하셔야죠!

     

     

     

     

     

    이어서 개인정보수집 동의항목등이 나오는데 모두 체크하신뒤 계속 진행합니다.

     

    그리고, 성명과 주민번호를 입력하신 후, "실명확인" 을 거칩니다.

     

     

     

     

     

     

    그 다음 항목으로 본인인증수단 선택화면이 나오는데, 본인이 편리한 방법을 체크하신뒤에 "확인"을 눌러줍니다.

     

    저는 인터넷뱅킹용 공인인증서가 있어 인증서를 통해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나이스의 안심본인인증 팝업이 나오는데 이 부분이 굉장히 불편했습니다.

     

    덩달아 설치되는 보안프로그램과, 자바 가상머신설치등이 필수로 설치되어 있어야하기때문에 설치후 브라우저를 껐다가 다시 진행하고 자바 업데이트가 안되었다며 설치후, 다시 끄고 설치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그래도 사용자편의보다는 보안이 중요한 사이트이기때문에 나오는 보안프로그램은 모두 설치를 해줍니다.

     

     

     

     

     

     

    필수설치 보안프로그램 이외 이러한 자바관련 프로그램도 모두 설치 또는 실행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간편한 휴대폰인증을 통해 사용하시기를 권장해드립니다.

     

    단, 휴대폰인증은 하루 3번밖에 이용하실 수 없으니, 주의해주시구요.

     

     

     

     

     

     

    드디어 바로 조회결과가 나왔는데,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서울신용평가정보, 한국신용정보주식회사, 한국신용평가정보, 코리아크레딧뷰로등의 신용기관 4곳에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만약 이곳에서 건수가 제대로 표시안되고 모두 0건으로 나왔다면 Activex를 정상적으로 설치를 해주셔야 됩니다.

     

    KCB 코리아크레딧뷰로같은경우 올해초에 유출사건이 있었던것 기억하시죠.

     

    고객의 정보를 소중히 다뤄야하는 기관에서 정보유출사건이 발생했으니 회사의 이미지상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으리라 봅니다.

     

     

     

     

     

     

    그리고 위에서 나온 내역중, 조회하고자 하는 신용회사명칭을 클릭하셔서 상세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그 중 내역이 가장 많은 SCI 서울신용평가정보(주)를 클릭했습니다.

     

    사이트주소와, 인증일시, 그리고 실명확인인지 회원가입인지등의 사용목적이 사이트마다 각각 확인이 가능합니다.

     

    만약, 해당 내역을 보신후, 본인이 전혀 모르는 사이트이거나 왜 실명확인을 했는지 모르는곳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신뒤에 회원탈퇴등을 진행하시면 되는데요. 만약 건수가 많다면 힘들겠죠.

     

    이 경우 홈페이지탈퇴 요청하기 기능을 활용하시면 편리합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해당 사이트에서 클린센터에서 탈퇴요청한 내용을 거부할수도 있거나 처리가 늦어질수 있다는 것이구요.

     

    급하게 탈퇴를 진행하고 싶다면 직접 접속하신뒤에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명의도용이 의심된다면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로 바로 접속하셔서 신고를 하셔도 됩니다.

     

     

     

     

     

     

    홈페이지 회원탈퇴 의뢰양식인데요. 한번에 10개까지 웹사이트주소와 가입된 ID를 기입후 제출하실수 있습니다.

     

    단 ID를 모른다면, "모름"이라고 적으시면 되구요. 만약 탈퇴신청한 내용을 다시 철회하고 싶다면 전화 118로 거신 후, 민원신청을 취소하신다고 접수하시면 됩니다.

     

    현재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으로 마이핀발급을 주로 이용하시는데요.

     

    마이핀발급 또한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니 설치과정등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마이핀발급방법 안내 -> http://comslife.tistory.com/7

     

    그리고, 앞으로 안전하면서도 유출되어도 걱정이 없는 새로운 개인식별 대체수단이 빨리 개발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은 간단하지만 유용한 정보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요. 소중한 개인정보 안전하게 관리하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