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험나이 계산방법
    정보 2017. 5. 19. 16:33
    반응형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험상품에 가입 할 때, 본인의 보험나이에 따라 가입금액이 달라지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흔히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실제나이와 만나이의 구분은 생일이 지났느냐, 지나지 않았느냐에 따라 구분이 된다는 사실은 알고 계실겁니다.


    하지만, 보험상품에 가입할 때에는 보험나이라는 것을 적용하여, 가입 당시 연령에 따라 보험료가 차등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연령이 높을 수록 사고발생률과 질병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가입자의 나이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가끔 설계사로부터 가입 견적을 받아보면 본인의 실제 나이보다 2살이 더 적게 나올 때도 있고, 1살이 더 적게 나올 때도 있습니다.


    왜 그런지 궁금하셨을텐데요. 이에 따라 오늘은 보험나이 계산방법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보험나이 계산방법


    기본 규칙은 실제 또는 만나이를 따질때는 1년 단위로 계산을 하게 되지만, 보험 나이의 경우 6개월 단위로 계산하는 규칙이 있습니다.


    수식을 간단히 설명 드리면, 계약일을 기준으로 실제 만나이를 빼서, 개월수가 6개월 이상이면 1살을 빼고 6개월 이하이면 2살을 빼면 됩니다.



    즉, 일반적으로 실제나이보다 만나이가 1살이 적고, 계산 결과 6개월을 기준으로 +- 하면 됩니다.


    ▶ 계약일 - 가입자(피보험자)의 생년월일


    이렇게 한 살이 늘어나는 시점차이는 바로 "보험상령일"을 적용하기 때문인데, 보험상령일이란 연령을 올리는 날을 말하면 가입자의 생년월일 + 6개월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990년 1월 1일생 + 6개월 = 1990년 7월 1일이 상령일이 됩니다. 쉽게 본인의 생년월일에 6개월을 더하면 보험나이가 한 살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출처 / 모네타 ]


    그러나, 이마저도 계산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시면 모네타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쉽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모네타 보험계산기 참고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성별과 가입예정일, 피보험자의 생년월일을 입력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참고로, 모네타 금융계산기에서는 이 외에도 예적금계산기나 부동산, 세금, 재무계산기 등 다양한 계산기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1983년 2월 19일이 생일이라고 가정하고, 2017년 7월 19일에 가입한다는 예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차이가 34년 5개월로써, 6개월 미만은 버리고, 34세로 인정한 결과입니다.







    이번에는 생년월일은 동일한 가입예정자가 9월 19일날 가입한다는 가정입니다.


    계산 결과 월단위가 7월로써, 6개월이 지난 시점이어서 가입연령이 35세가 된다는 예입니다.


    즉, 똑같은 년도라도 본인의 생년월일에 따라 가입보험료가 몇 천원 또는 몇 만원까지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입니다. 심한 경우엔 단 하루 차이라도 1살이 더 많게 책정될 수도 있다는 뜻 이구요.


    당장은 몇 천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할지라도 향후 갱신 등을 생각한다면, 보험료 절약적인 측면에서도 일찍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신규로 실비나 암보험 등에 가입을 의향이 있는 경우엔, 위 방법으로 본인의 보험나이를 계산해보시고, 한살이라도 더 오르기 전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니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젊고 건강 할 때 몸 관리 잘하셔서 건강하게 100세 시대 누리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