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투표소 찾기 서비스 및 투표시간정보 2017. 5. 8. 21:00반응형
안녕하세요. 드디어 우리 나라 제19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대선 투표일이 다가왔습니다.
후보들마다 저마다의 정책과 나라를 이끌어갈 비전으로 선거활동을 해왔을 텐데요. 이제 비장한 각오로 국민들이 선택한 투표결과를 지켜봐야 할 때입니다.
아시다시피 이번 사전투표기간에 총 유권자 중 26.06%라는 놀라운 기록으로 이미 많은 분들께서 투표에 참여해주셨는데요.
마지막 결전의 날 이러한 높은 투표율이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사뭇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미 유권자들의 집으로 5월 9일 투표날 정해진 투표소와 주소, 등재번호 등이 기록된 안내문이 나갔을 텐데요. 안내용지를 잃어버린 경우라도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포털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내 투표소 찾기 서비스를 통해 해당 유권자의 투표소명과 등재번호 등을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늘은 선관위 홈페이지를 통해 내 투표소 찾기 이용하는 방법과 투표시간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이 번 대선 이전에 국회의원 선거나 지방선거를 하신 분들이 주소를 옮기지 않았다면 대부분 이전과 동일한 투표소로 배정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해 꼭 장소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번 대통령선거는 조기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보궐선거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5년 동안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분을 뽑는 역사적인 날입니다.
아직은 단임제라서 한 번만 할 수 있지만, 5년 임기 동안 성공한 대통령으로써 온 국민의 추대를 받는 분이라면 미국처럼 재선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괜찮을 거라 생각합니다.
요즘은 선거인식도 많이 달라져서, 예전보다 높은 투표율을 보이고 있는 양상인데요. 앞으로는 동과 서 또는 이념논쟁을 버리고 진정으로 화합하고 하나로 통치 할 수 있는 대통령이 나왔으면 합니다.
사전투표를 하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5월 9일 꼭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셨으면 합니다.
5월 9일 투표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입니다.
이 시간 동안 주민등록증과 같은 신분증을 지참 하신 후, 지정된 투표소로 가셔서 선거하시면 되겠습니다.
▶ 이용 가능한 신분증 :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여권, 또는 관공서 등에서 발급한 사진이 부착된 증명서
참고로, 내 투표소 찾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선관위 홈페이지, 선거정보 모바일앱,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nec.go.kr
이어서, 홈페이지 중앙에 투표소찾기서비스 중 "내 투표소"를 클릭합니다.
이어서, 시도, 구시군, 성명, 생년월일, 성별을 차례로 선택한 다음, 주민번호 끝 3자리를 입력합니다.
주민번호 3자리는 생략 가능하며, 모두 입력하셨으면 "검색" 클릭
결과는 바로 나오며, 검색 조건에 맞는 유권자가 있는 경우, 해당 투표소명과 건물명, 주소, 등재번호, 약도까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등재번호를 알지 못하더라도 아파트명이나 이름 등으로 본인확인이 가능합니다.
▶ 투표 절차는 간단합니다.
각 정당과 후보자측에서 추천한 사람들이 참관하고 있기 때문에 공정하게 진행된다고 보시면 되며, 입구에서 신분증을 제시하고, 선거인명부에 직접 서명을 합니다.
이어서, 투표용지를 받아 기표장소에 들어가 비치된 기표용구로 원하는 후보 옆 기표란에 딱 1번만 기표를 합니다.
이 때 여러 후보 옆에 복수 기표하거나, 다른 후보와 경계선이 겹치거나, 다른 필기구로 기표할 경우 무효표가 되기 때문에 주의해서 한 곳만 찍습니다.
그 다음, 투표지를 접어서 중앙에 위치한 투표함에 넣고 출구로 퇴장하시면 됩니다.
또한, 인증샷을 위해 기표소내에서 스마트폰 등으로 촬영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지만, 투표소 밖에서 특정후보를 가르키는 손가락 표시 등의 인증샷은 가능합니다.
아무쪼록, 5월 9일 나의 소중한 한 표로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으로 모두 참여해 주셨으면 합니다. 직장인의 경우 아침에 바쁘셔도 못하셨다면 퇴근 후, 저녁 8시까지 꼭 참여하도록 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