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선사전투표소
    정보 2017. 5. 4. 12: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는 5월9일은 우리나라 제19대 대통령을 뽑은 대선투표일입니다.


    그러나, 평일이다 보니 투표를 하지 못하는 경우나 긴 연휴로 장기간 해외여행 등으로 해당일에 투표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 사전투표제도를 이용해 미리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늘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대선사전투표소를 찾는 방법과 위치 등을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외 각 포털 에서도 사전투표 시간과 장소 그리고 투표소에 대한 안내도 자세히 안내하고 있는데요. 이 번 대선만큼 국민들의 관심이 큰 적도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이번 대선은 불미한 사건으로 조기에 실시되는 영향도 있겠지만, 후보자마다 본인의 정책을 알리기 보다는 상대후보를 폄하하고 확인되지 않는 소문 등으로 네거티브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국민들도 의식이 많이 바뀌었고, 잘못된 정보를 그대로 믿는 경우가 거의 없어 현명한 판단을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먼저, 대통령 선거날 5월9일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지만, 회사마다 재량 껏 출근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저희 회사도 마찬가지이구요. 따라서 당일 투표가 어려운 분들은 4일~5일 이틀간 가까운 사전투표소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 사전투표 시간과 장소


    먼저, 공식투표기간과 사전투표기간입니다.


    대선 공식 선거일 : 5월 9일(화) 06시~20시


    사전 선거일 : 5월 4일(목) ~ 5일(금) 06시~18시





    투표소에 가실 때 준비물은 신분증만 지참하시면 되며, 전국 어디에서나 사전 등록이나 신고절차 없이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


    신분증은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 여권 등이며, 그 외 공공기관 등에서 발행한 사진 부착된 신분증명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사전투표를 한 경우라도 개표는 동일한 5월9일 실시됩니다.



    ▶ 대선사전투표소 찾는 방법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바로 가기 => http://www.nec.go.kr



    찾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선관위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중앙 하단에 "투표소 찾기 서비스" 링크가 있는데요. 이 곳에서 사전투표소를 클릭하고 이동하시면 됩니다.


    만약, 5월 9일 투표를 해야 되는데 안내문을 잃어버린 경우라면 우측 "내 투표소"를 클릭하여 이름과 생년월일 8자리를 입력하시면 장소를 찾아 낼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자면 5월 9일은 꼭 내 투표소로 지정된 장소로 가셔야 합니다.





    이어서, 나오는 페이지에서 조회조건에 자신과 가까이 위치해 있는 곳이나, 찾고 싶은 장소를 시군단위까지 선택한 후,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저는 인천 중구를 통해 검색해봤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중구에 위치한 사전투표소가 나열되고 있는데요. 각 장소와 소재지를 확인하신 후 찾아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우측 "약도"를 클릭하시면 해당 투표소가 위치한 상세 지도서비스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건물의 경우 층단위까지 자세히 안내되고 있어 편리합니다.



    단점이라면 포털에서는 읍.면.동단위까지 선택이 가능하여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선관위 홈페이지에서는 시.군.구 단위까지만 선택이 가능합니다.




    대선사전투표소를 확인하셨다면 가까운 곳에 가셔서 신분증을 제출 후, 서명을 하시면 됩니다.


    이후 투표용지를 받고 기표소로 들어가신 후, 지지하는 후보 이름 옆에 기표를 하고 잘 접어서 투표함에 넣고 나오시면 됩니다.


    이 때 관외선거인(해당 거주지 읍.면.동 주소지 선거인이 아닌 경우)의 경우 회송용 봉투에 넣으신 다음 봉합해서, 투표함에 넣으시면 됩니다.


    이번에 역대급 사전투표율이 나올 것이 확실시 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국민들이 새로운 나라에 대한 열망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요. "나 하나가 아니어도 되겠지"라는 생각보다는 "나도 힘을 보태야지"라는 마음가짐으로 소중한 한 표 꼭 행사하시길 부탁 드립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