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방법 간단합니다
    IT팁 2014. 11. 5. 00:1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회보장제도중 하나인 4대보험중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여기에서 말하는 4대사회보험은 잘 아시다시피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말하는데요.

     

    간단히 이 제도들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알고 있으면 좋은 내용입니다.

     

    첫번째, 국민연금이라함은 정부가 운영하는 공적연금제도로써 만 18세이상 소득이 있는분들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며, 소득에 따라 일정기간 납부를 하고 수급연령이 도달했을때, 평생 급여를 지원해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두번째, 건강보험은 국민의 질병이나 부상, 출산, 사망등 건강증진에 대해 보험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매월 일정액의 보험료를 납부하고 질병등으로 병원치료나 약을 처방할때 본인납부액 외 공단에서 일정액을 지급하여 실질적으로 저렴하게 진료를 받을수 있습니다.

     

    세번째,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를 대비하여 생활안정자금 또는 구직활동에 필요한 급여를 일정기간 지원해주는 제도로써, 1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사업장은 의무적으로 가입을 해야됩니다.

     

    네번째, 산재보험은 근로자가 산업재해를 당했을경우, 근로자와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가 책임을 지는 의무보험제도를 말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새로운 직장에 들어갈때 또는, 은행등에서 업무를 보실 때 신규거래나 대출등의 거래를 하실 때 소득을 증명하는 서류로써,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를 제출하라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확인서에는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이력이 모두 기록되어 있기때문에 취업상태나 현재 직업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취직을 하게 되면, 해당 직장의 직장가입자로 편입되며, 퇴직을 한 뒤 직업이 없으면 지역가입자로 편입되어 보험료를 납부해야만 합니다.

     

    이렇게 납부하는 재원을 통해 국민건강보험에서는 가입자의 질병이나 치료등으로 부담하는 비용을 급여공제항목으로 분류하여 저렴하게 치료를 받을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또한 확인서를 발급받기 위해 공단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공인인증서만 있다면 인터넷으로 쉽게 발급이 가능합니다.

     

     

     

     

     

    우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http://www.nhis.or.kr

     

    그리고 메인페이지에서 방문자별 맞춤 메뉴중 "개인" 을 클릭합니다.

     

     

     

     

     

    이어서 나오는 페이지에 개인 카테고리부분에 "조회 및 발급" 을 클릭하시면 되구요

     

     

     

     

     

    자주찾는 민원으로 이동되며, 상단 좌측 자격득실확인서발급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이 확인서에는 본인이 편입된 사업장명칭과 취득일, 상실일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그 외 자주찾는 민원에서 건강검진 결과조회나 본인의 보험료 납부확인서등도 이곳에서 조회, 발급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종이로 된 건강보험증을 들고 다녔었는데, 요즘은 주민등록번호만 불러주면 되기때문에 편리합니다.

     

     

     

     

     


     

    그다음 로그인화면이 나오는데요.

     

    공인인증서만으로는 확인이 안되며, 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평소에도 공단에 방문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는 민원서비스등이 많이 있기때문에 간단히 회원가입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회원선택부분은 직장가입자라 할지라도 개인회원으로 선택하고 들어가시면 됩니다. 구성원 이기때문이죠.

     

     

     

     

     

     

    저는 기존에 가입되어 있어, 아이디를 입력후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했습니다.

     

    그리고, 가입후 일반로그인으로도 LOGIN이 가능하지만 열람 항목이 제한되어 있기때문에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정상적으로 로그인을 하셨다면 바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발급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는 실제로 저의 내역인데요. 직장가입자에서 지역세대주로 이동했다가 현재 상실일 없이 계속 직장가입자로 편입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조회된 결과는 프린트발급을 받으실수도 있고, "팩스전송"서비스로 받아보실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으로 발급된 확인서를 회사나 은행등의 금융권에서 활용할수는 있으나 공단에서는 그에 대한 책임은 지지 않는다는 주의사항도 있으니, 활용할 곳에 먼저 인터넷으로 발급받은것도 가능한지 확인후, 진행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공인인증서가 없는분들이라면 1577-1000번으로 전화하셔서 팩스로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도움되셨기를 바라며, 이만 줄이겠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