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4년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공공 2014. 10. 28. 20:03
    반응형

    살면서 일반저축이나 개인연금을 제외하고 노후대비로 가장 쉬우면서도 투자대비 효과가 가장 좋은것을 고르라면 어떤것을 선택할 수 있을까요?

     

    대부분 부동산투자나 펀드 주식등의 직접투자를 말씀하시는분들이 많을것 같은데요.

     

    저는 단순하게 생각해서 국민연금의 성실한 납부가 최고의 재테크가 아닐까하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답니다.

     

    따라서 오늘은 본인이 납부한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가 합니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면서 소득이 있는 만 18세이상의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매월 일정액을 납부해야만 합니다.

     

    저도 직장생활을 시작한 이후로 지금까지 성실히 납부하고 있는데요.

     

    매월 급여수령시마다 소득의 9%중 4.5%에 해당하는 금액은 내가 내고, 회사에서 4.5%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하고 있습니다.

     

    결국 근로소득자는 본인이 속한 회사에서 연금의 50%가 되는 금액을 내주고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오랫동안 근무하시는게 본인한테도 이득이 될뿐 아니라, 나중에 받게 되는 수령액도 커지게 되어 있습니다.

     

    납세자연맹을 비롯하여 일부 단체에서 주장하듯, 몇십년후에는 기금이 고갈될것이다라는 예측결과가 나왔는데 그러한 최악의 경우에 가지 않기 위해 연금공단에서도 미리미리 준비하여 잘 운영해주었으면 합니다.

     

     

     

     

     

    사실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공무원연금, 사학연금등도 가입자가 내는 금액보다 향후 받게 되는 금액이 더 커지게 설계되어 있어, 내는 금액이 한정되고 수급자가 늘어나면 기금이 바닥난다는것은 누구나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나라의 공적연금을 운영하면서 그렇게 한치앞 상황도 판단하지 못하고 설계했을리는 없을테니까, 믿어보는 수밖에 없을듯 합니다.

     

    그렇다고 맘에 안들어 탈퇴할수도 없으니말입니다.

     

     

     

     

     

     

    이 우편물은 얼마전 저희집으로 배달된 가입내역안내서입니다.

     

    아마, 가입자분들은 대부분 받아보셨을텐데요. 본인이 총납부한 총액과 개월수 그리고 운용상태등의 안내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향후 연금수령나이가 되었을경우 본인이 얼마를 받게 되는지 궁금하실텐데요 알아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국민연금 수령액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를 준비하신뒤, NPS 내연금서비스로 이동해서 알아보시면 됩니다.

     

    NPS 내연금 => http://csa.nps.or.kr

     

    위와 같이 메인화면에 빠른서비스 바로가기아이콘이 있는데 클릭하고 들어갑니다.

     

     

     

     

     

    그 다음 로그인 화면에서 주민등록번호와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인증서는 갖고계신 은행보험용 개인인증서나 범용인증서든 아무것이나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하고 나서 바로 예상노령연금표가 나왔습니다.

     

    로그인한 가입자의 정보를 토대로 현재까지의 납부액을 기준으로 연금수령시기가 될때까지의 연금액과 매년 소득상승률을 적용하여 미래가치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예상연금액 확인이 바로 가능합니다.

     

    저는 현재가치로 109만원, 연1%소득 상승시의 미래가치로 256만원정도 나왔습니다.

     

    연금수령시기는 만65세인 2038년도부터 받을수 있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결과를 보니 수령나이도 멀었지만, 앞으로 60세까지 납부해야되는 기간도 상당이 부담이네요.

     

     

     

     

     

    또한, NPS에서는 인증서를 통해 별도 로그인하지 않고도 모의계산을 통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단, 생년월일이나 월 소득정보 입력, 소득상승률등의 정보를 간단히 입력하셔야 합니다.

     

    한번 직접 해보겠습니다.

     

     

     

     

     

    우선 기본정보에 1983년생으로 입력후, 최초 가입년월을 2008년 1월로 입력하였습니다.

     

    최초가입년월을 입력하면, 최종 상실년월과 시작년월등은 자동으로 칸이 채워집니다.

     

    여기에서 예상소득상승률과 월소득금액을 입력하신후, "결과보기" 클 클릭하시면 됩니다.

     

     

     

     

     

     

     

    노령연금 계산결과가 바로 나왔습니다.

     

    입력한 기초정보를 토대로 현재가치으로 월 85만원, 연 3%상승시에는 월301만원정도 받을수 있네요.

     

    물론, 나이가 적은나이에 가입할수록 그리고 소득상승률이 클수록 수령액은 늘어난결과로 계산되어 나옵니다.

     

     

     

     

     

     

    기본연금액도 확인할 수 있는데, 총 가입월수와 소득상승률에 따라 금액이 비례하여 늘어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알아본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결과는 모든 사용자가 동일하지 않고, 가입자의 가입시기 그리고 현재 매월 납부하는 금액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국민연금의 성격은 적게 내면 적게 받고 상대적으로 많이 내면 많이 받는 구조로 되어있고, 소득재분배 효과도 있습니다.

     

    즉, 아무리 많이 내도 상대적으로 혜택을 덜 받는 계층에게 분배하는 기능이 있는것입니다.

     

    수익률로 따지자면 복리저축이나 개인연금보다는 좋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데요.

     

    저희가 받을때쯤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공적연금제도로써 지속적으로 잘 운영되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