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iptime 비밀번호 설정방법 간단합니다
    IT팁 2014. 10. 10. 16:06
    반응형

    오늘은 유무선공유기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iptime 공유기의 비밀번호 설정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저희 집뿐만 아니라 회사에서도 이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가격도 괜찮고 성능 또한 만족만할 수준이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저는 평소 집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때, 집에 설치된 무선공유기를 통해 인터넷을 접속하고, 스마트폰도 와이파이를 통해 무선접속을 이용하고 있답니다.

     

    사실 요즘은 공유기마다 무선신호가 잡히는 대역폭의 성능도 좋아지고, 멀리까지 개방되어 나가기 때문에 아파트와 같이 공공주택에 사시는분이라면 조심해서 나쁠건 없습니다.

     

    전기 또한 상시전원으로 켜 놓는경우가 대부분이기때문에 전기세부담 또한 무시할수 없죠.

     

    어쨌든, 한번 접속할 때 비밀번호를 저장해 놓으면 거의 설정할 일이 없는데, 가끔 보면 아파트에 사는 다른집의 공유기가 아무런 보안도 없이 접속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그분들은 아마도 따로 패스워드를 설정하지 않아 누구든 접속할수 있고 원하지 않는 트래픽때문에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꼭 공유기설정에 들어가셔서 패스워드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컴퓨터나 인터넷에 대한 큰 지식이 없어도 iptime 비밀번호 설정은 본인스스로 쉽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 내용에서 이미지를 함께 올려드릴텐데요. 보시고 패스워드설정이 안되어 있는분들은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위 사진에 보시는 것처럼 제가 갖고 있는 모델은 무선과 유선을 모두 지원하는 모델이랍니다.

     

    뒷면에 보시면 WAN 포트에 인터넷회선을 꽂으면 되는 것이고, 혹시 유선으로 이용하실려면 랜케이블을 나머지 1, 2, 3, 4번 포트 아무곳이나 하나에 꽂고 PC와 연결하시면 됩니다.

     

     

     

    [ 인터넷주소창에 192.168.0.1 입력 ]

     

     

     

    우선 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PC나 노트북에서 무선네트워크를 해당 공유기와 연결시킵니다.

     

    우측 하단에 무선신호로 접속하시는 건 아시죠? ( 더블클릭 한다음 "연결" 클릭 )

     

    그리고 iptme의 공장 초기상태는 모두 192.168.0.1 로 되어 있습니다.

     

    익스플로러 또는 크롬과 같은 브라우저를 실행한 뒤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192.168.0.1 을 입력하고 Enter키를 칩니다.

     

     

     

     

    [ 관리도구 접속 ] 

     

    위와 같이 정상 입력하면 메뉴가 3개 나옵니다.

     

    이 중 "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설정마법사로도 할 수 있으나 관리도구로 해도 무난히 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안테나 2개짜리 N604V 모델을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모델을 갖고 계시더라도 동일한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고급설정 ]

     

     

     

    정상 접속되셨다면 위와 같이 메뉴탐색기가 나옵니다.

     

    좌측메뉴중 "고급설정" -> "무선랜 관리" 를 클릭합니다. 접혀있는 메뉴는 맨 앞 + 을 클릭하면 펼쳐집니다.

     

     

     

     

    [ 무선 설정/보안 ]

     

     

     

    그리고 나서, 우측화면에 공유기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름(SSID) 부분이 있습니다.

     

    이 이름은 본인만 알수 있는 고유한 이름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그아래 부분을 보시면 다른부분은 손댈거 없고, 인증방법을 클릭합니다.

     

    맨처음에는 누구나 접속할 수 있는 "개방 모드"로 되어 있는데, 이부분을 클릭해서 WPAPSK/WPA2PSK 를 선택합니다.

     

    참고로 WPA2PSK 도 많이 이용되기도 하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이어서, 인증방법을 바꾸고나서, 암호화방법을 "AES" 로 선택을 해줍니다.

     

    그러면 바로 밑에 네트워크 키를 입력하는 빈 공란이 생깁니다.

     

    이곳에 iptime 비밀번호를 지정하신 후 "적용" 을 클릭하시면 모든 설정이 끝납니다.

     

    이후 확인을 위해 다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공유기 접속을 하시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뜨는데 아까 입력한 네트워크 키를 입력하시면 되겠습니다.

     

     

     

     

    [ 공유기 관리자설정 필요 ]

     

     

     

    여기에서 중요한 팁이 하나 있습니다.

     

    맨 처음 공장초기화 상태에서는 무선접속만 되면 누구나 설정창에 들어올 수 있게 됩니다.

     

    누군가 접속해서 함부로 설정을 바꾸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유기의 설정화면을 들어올수 있는 계정을 만들어주는게 좋습니다.

     

    고급설정 -> 시스템관리 -> 관리자 설정으로 이동하신후 로그인 암호설정에서 계정과 암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새 계정 : admin , 새 암호 : 패스워드입력

     

    여기서 입력한 암호를 무선접속할 때의 암호가 아니라, 공유기의 설정창에 들어올때의 아이디와 암호입니다.

     

     

     

     

     

     

    모든 설정을 한 후, 다시 192.168.0.1 을 주소창에 입력후 들어왔을 때, 위와 같이 보안이 걸린 로그인창이 나옵니다.

     

    사용자이름은 위에서 생성한 계정이름 admin 과 본인이 만든 새 암호를 입력하시고 들어가시면 됩니다.

     

    요즘은 인터넷에 대한 IP기록도 중요하기 때문에 보안상 이렇게 비밀번호를 설정하신 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설정한 패스워드가 도저히 생각이 나지 않을때는 공유기의 뒷면에 0.2mm의 작은 구멍이 있습니다.

     

    볼펜등으로 2초정도 꾹 누르면 모든 설정이 초기화되고 처음부터 다시 셋팅할 수 있다는 점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