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민연금 납입기간 확인방법
    정보 2017. 3. 28. 17:44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들 평안하신지요? 오늘은 국민연금 납입기간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최근 국민연금이 많이 시끄럽습니다.


    그것도 국정농단의 주범과 연계되어 있는 삼성그룹에 대한 지원으로 비판을 받고 있으며, 최근 대우조선해양의 지원방안이 또 나오면서,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어떠한 선택을 할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이 지원안에는 대우조선에 2조9천억원을 신규로 지원하고, 3조8천억원 규모의 채무를 조정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만약, 이 조정안을 공단에서 찬성하여 통과된다면 국민혈세 낭비 뿐만 아니라, 국민연금과 우체국 등의 추가 부실우려가 있어 연금을 납부하고 있는 일반 국민들의 피해도 예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실, 대우조선은 수장이라는 사람들이 분식회계는 물론 임직원들의 성과급 잔치 등으로, 국민들의 혈세로 지원된 돈을 자기들 돈인것처럼 무분별하게 사용하다 적발된 회사입니다.


    그것도 모자라서 금융권에 추가 혈세를 요청하고 있는 바, 국민 한사람으로써 답답하기 그지 없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처음 직장 생활을 하면서 20년 가까이 국민연금을 납부해왔고, 앞으로도 혜택을 보려면 더 많은 기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물론 대부분 그러하겠지만요.


    아시다시피,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0년 납입기간 실적이 있어야 하고, 수령나이가 되었을 때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대우조선의 지원방안이 나오면서 동시에 국민연금 최고수령자가 월 194만원을 받는다거나, 월 100만원 이상 받는 연금 수급자가 12만9천명정도 된다는 뉴스도 동시에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요즘은 N사나 D사 등 포털에서 실시간 검색어로 오르내리는 내용들은 전국민의 관심사로 이슈화되는 경우가 많아, 갑자기 이러한 통계뉴스가 쏟아져 나오는 것도 미리 계획된 의도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영화, 더 킹을 보면 아시겠지만 이미 다 수집되어 있는 정보도 일부러 터트리지 않고, "특정사건을 덮거나 일반 대중들의 관심을 돌리고자 할 때 터트리기 위해 두고두고 숙성시켜 놓는다"는 멘트가 나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잘 통하고 있나요? 예전에는 무슨 사건만 터지면 연예인 열애설 등이 터져서 관심을 돌리기에 충분했지만 이제는 일반 대중들도 예전의 대중들이 아니라는 것이죠?





    앞으로 갚아야 할 대우조선해양의 회사채 만기일은 당장 4월21일 4,400억원, 그 뒤로 7월23일 3천억원, 11월29일 2천억원 정도이며 내년 3월19일에도 3,500억원 정도가 됩니다.


    물론 회사에서도 이미 수주한 내역을 잘 이행하고 자체구조조정을 통해 손실폭을 줄이고, 추가 수주 등으로 안정적인 유동자금을 확보한다면 충분히 회생가능성이 있을거라 봅니다.


    다만, 또다시 돈을 빌려서 직원들 연봉 상향, 성과급잔치 등을 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램뿐입니다.



    내용이 좀 벗어났는데요. 그래서 저는 오늘 제가 열심히 내고 있는 국민연금 납입기간과 어느 정도의 금액을 냈는지, 또 앞으로 얼마동안 더 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알아봤답니다.


    방법은 공인인증서만 있다면 인터넷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공단 홈페이지 ( http://www.nps.or.kr )로 이동합니다.


    이어서, "민원신청" -> "개인민원(조회/증명)" 을 클릭합니다.




    그 다음 단계로, NPS 전자민원서비스로 이동되는데요.


    개인전자민원 메뉴에서 "조회/증명"을 선택한 후 "가입내역조회"를 클릭합니다.


    그리고나서, 공인인증서 로그인 과정을 거칩니다.




    참고로, 몇 달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안내용지가 우편으로 오지만 평소에 실시간으로 납부내역 등을 확인하고 싶다면 1년 365일 실시간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저는 지금까지 총 240개월을 납부했네요. 정확히 20년이 되었네요.


    총 납부금액은 4천8백정도 되어 1/N로 나누면 평균 20만원정도 되지만 20년 전과 지금의 급여가 다르기 때문에 처음보다 현재 내는 금액이 커지고 있다고 봐야겠죠.




    또한, 매월 1년 단위로 상세내역을 볼 수 있는데요.


    이 상세내역을 보면 연단위로 기준소득월액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대략 어느정도 급여가 상승 또는 하락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 편리합니다.




    또한, 앞으로 수령나이가 되었을 때 매월 받을 수 있는 금액을 현재 가치기준으로 알 수 있습니다.


    수령조건은 10년 이상 납부하고, 60세 이후부터 평생 받게 되는 것입니다. 단, 출생연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름.


    ▶ 52년생 이전 : 60세    ▶ 53~56년생 : 61세

    ▶ 57~60년생 : 62세     ▶ 61~64년생 : 63세

    ▶ 65~68년생 : 64세     ▶ 69년생 이후 ; 65세


    저 같은 경우엔 현재기준으로 120만원정도 되는데, 이 예상연금액은 제가 만60세까지 꾸준히 납부해야한다는 조건이 있는것이구요.


    앞으로도 약 200개월을 더 내야 저 정도 금액을 받을수 있다는 것이며, 연금계산내역에 나오는 노령연금 A값은 연금을 수급하기 직전 3년간의 가입자 전체의 평균소득월액의 평균액을 말하며, B값은 가입기간 동안 개인의 표준소득월액을 현재가치기준으로 재평가한 평균액을 말합니다.


    참고로, 오늘 발표된 내용을 더하자면, 현재 연금을 빨리 신청해서 받는 조기연금 수급자는 약 51만명이며, 늦게 받는 연기신청자는 약 1만7천명. 그리고 최고수령자는 월193만원입니다.


    그리고, 월 100만원 이상 받는 분들은 12만9천명정도이며 이 수급자 숫자는 해가 갈수록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납입기간이 길었던 가입자들이 이제부터는 수급자로 돌아서면서, 연금지급액도 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커지고 결국 기금운영에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죠.


    그래서, 다시 하고싶은 얘기는 국민들이 피와 땀으로 내고 있는 재원이기 때문에, 부실기업을 지원하는데 있어 신중에 신중을 기해달라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ㅠ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