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업자등록번호조회방법
    정보 2015. 11. 16. 19:43
    반응형

    요 며칠, 갑자기 비도 오고 날씨가 오락가락하여 몸도 찌뿌둥한게 영 좋지를 않네요.


    이럴때 일수록, 모두 감기 조심 하시구요. 건강도 건강할 때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자영업이나 회사에 근무하시는 분들을 위한 정보입니다.


    일반적으로 매입 매출거래시 상대 회사와 사업자등록증을 주고 받는데요. 가끔 이 번호가 제대로 된 사업자번호인지 확인해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전자세금계산서를 활발히 이용되고 있지만 예전에는 종이로 된 계산서를 주고 받는 경우가 많았었습니다.


    그 세금계산서를 보시면 사업자등록번호와 대표자, 개업년월일, 주소, 업태 등을 확인할 수 있었구요.


    또한, 그 번호를 통해 정상적인 업체인지, 일반과세업체인지, 간이업체인지를 알 수가 있습니다.


    바로, 국세청홈택스에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위 이미지파일은 실제로 법인사업자의 등록증입니다.


    법인사업자의 경우 법인등록번호 등을 추가로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에 표시된, 등록번호를 통해 어떤 상태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출처/국세청홈택스)


    국세청홈택스 바로가기


    통합되기 전 홈택스에서는 공인인증서를 통해 별도로 로그인을 해야만 했었는데, 이제는 로그인 없이도 번호만 알면 쉽게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답니다.


    메인 메뉴에서 "조회/발급" 을 클릭합니다.








    그 다음 화면으로 사업자상태 -> 사업자등록번호조회를 클릭합니다.





    ■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



    최종적으로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곳에서 번호만 입력해도 되고, 숫자와 하이픈을 섞어서 입력해도 됩니다. 그리고 "조회하기" 클릭


    결과가 바로 나왔으며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 입니다"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알고 있으면 좋은 내용에 대해 설명 드려야죠.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일반과세자란 전년도 연간매출액이 4,8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나 올해 예상되는 경우, 그리고 간이과세자에서 배제되는 업종일 경우를 말합니다.






    ■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



    이번에는 간이과세자로 표시된 경우입니다.


    간이과세자란 일반적으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업종으로써 연간 매출액이 4,800만원에 미달되거나, 미달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간이과세자로 등록하게 됩니다.


    장점은 일반과세자의 경우 10%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간이과세자는 2~4%대의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단,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필요하면 "간이영수증"을 발행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연 매출이 4천8백만원 미만이라도, 간이과세자에서 배제되는 업종은 아래와 같습니다.


    광업, 제조업(단, 소비자를 직접 상대하는 제조업은 간이과세 가능), 도매업 일부, 부동산임대업, 부동산매매업, 변호사 등의 전문직 사업자, 호텔.백화점.예식장, 그 외 일반과세자로부터 양수한 사업 등이 해당됩니다.





    ■ 폐업인 경우



    폐업자인 경우에도, 과세유형, 폐업일자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잘못된 사업자번호일 경우



    마지막으로 입력한 번호가 없는 경우엔 "사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안내를 해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일반 구내식당이나 영세상인들의 경우 대부분 간이과세자로 등록되어 있어, 세금계산서 발행이 어려운데 기업체 입장에서는 부가세환급을 위해 계산서 발행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소규모식당이나 영세사업을 하는 분들의 상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아무쪼록 사업자등록번호조회는 홈택스에 접속하셔서 로그인 없이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답니다.


    그리고, 입력된 결과가 틀렸거나, 문의사항이 있다면 관할세무서로 문의해 보시면 상세 도움을 받으실 수 있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