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정보 2016. 12. 1. 11:19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의무 가입되어 있는 국민건강보험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를 조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시다시피 국민건강보험에 가입 되어 있는 분들이라면, 만 40세 이상이 되면 2년마다 정기 건강검진을 실시하게 됩니다.
직장에 다니고 있는 경우라면 나이와 상관 없이, 근무 직종에 따라 2년 또는 1년마다 의무적으로 검진을 받게 되는데요.
비사무직의 경우 1년, 사무직의 경우 2년마다 받게 됩니다.
단, 만 40세와 66세는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대상자로 분류되어 별도로 위암 검진 등을 받게 됩니다.
오늘은 2016년 기준으로 건강검진 대상자와 검진 종류, 생애전환기 검진 대상자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2016년은 홀수 년도에 태어난 분들이 대상자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상자가 되면 공단에서 검진을 받으라는 우편물이 발송되거나 아파트 공지 게시판 등에 검진안내를 해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공인인증서만 있다면 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으로 쉽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민원24에서도 생활정보서비스를 통해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가 가능합니다. 또한 일상 생활에 꼭 필요한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검진은 1차와 2차 항목으로 분류되며 1차 검진은 신장, 시력, 청력, 허리둘레, 혈압 등 기본사항 체크와 혈당, 콜레스테롤, 흉부방사선촬영, 진찰, 구강 검진, 상담 등으로 진행됩니다.
결과는 약 보름 후에 주소지로 발송 되며, 고혈압이나 당뇨가 의심 될 경우, 2차 검진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민원24에서 제공하는 생활서비스는 각 해당 기관에 방문하지 않고도 일반 생활정보를 한 곳에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통합서비스를 말합니다.
현재 총 41종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가족/건강 부분에서는 일반 건강검진일 뿐만 아니라 생애전환기 진단, 암건진, 영유아 검진 대상자정보 등을 조회 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간략히 정리해봤습니다.
세금/미환급금 : 세금과 관련한 생활정보(재산세, 종합소득세, 주민세, 자동차세, 휴면예금, 휴면보험금 등)
연금 : 연금 정보(국민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예상액)
병역 : 입영일, 징병검사일, 병력 동원훈련일, 민방위 교육훈련일 등
범칙금/과태료 : 교통범칙금 과태료, 주정차위반 과태료
자동차 : 운전면허, 자동차 검사기간, 고속도로 미납 통행료 등
생활정보 : 주택연금이나 국민연금대출, 학자금 대출 등의 정보
주택/복지 : 근로자녀장려금 대상자 확인이나 여권 만료일, 예비입주자 순위 등 정보
먼저, 민원24시에서 생활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바로 가기 : http://www.minwon.go.kr
인증서는 먼저 회원 가입을 하신 다음, 아이디로 로그인하여 공인인증서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셔야, 민원 신청이나 열람, 발급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별도 인증 절차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민원24를 맨 처음 이용하신다면, 웹브라우저의 환경을 설정하셔야 정상 이용이 가능합니다.
정상적으로 로그인 하신후, "가족/건강"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
하지만, 처음 이용하시는 분들이 이 부분에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됩니다. 아무리 클릭해도 반응이 없는 거죠.
바로, 좌측 부분 열람서비스 동의를 해야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위 이미지에서 보시는 것처럼 "동의하러 가기" 클릭합니다.
그 다음으로, 모든 서비스에 동의 또는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신 후 "동의"를 클릭하셔도 됩니다.
우리는 건강 검진 부분을 조회해야 하기 때문에 "가족/건강" 부분은 필수로 체크합니다.
동의 과정을 거친 후,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하셨다면,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처음에 없던 빨간색 숫자가 자동으로 표시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엔 연금1건, 자동차1건이 알림 표시가 되어 있었습니다.
만약, 생애전환기나 암 검진일 등의 정보가 있었다면 가족/건강 부분에 표시되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알림이 표시된 국민연금(예상액) 부분을 클릭해보면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가입했던 국민연금의 최초 가입일에서부터 지금까지 납부했던 총액, 그리고 향후 수령나이가 되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예상 연금액 까지 표시해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총 41종의 서비스가 연계되어 각 홈페이지를 방문하지 않고도 알 수 있어 편리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민원24시 홈페이지에서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만약, 직접 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조회 하고자 할 때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사이버민원센터 -> 검진대상조회 메뉴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참고로 예전에는 회원가입제였으나 이제는 공인인증서 로그인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참고로, 본인이 검진대상자로 확인이 되면, 병원 방문전 미리 문진표를 작성하여 본인 정보를 검진 의사가 열람하게 하거나, 본인이 직접 출력해서 방문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